본문 바로가기

대학생

(5)
[프로그래머스] 쇠막대기 (Level 2, Python) 온라인에서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 수 있는 프로그래머스의 Level2 쇠막대기 문제.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5) 문제 설명 해당 문제는 끝 점이 겹치지 않는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친 후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를 자르는 문제이다. 반환 값(answer)은 잘린 쇠막대기의 총 개수이다. 문제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 다음은 입력(input)에 대한 설명이..
AUSG (AWS University Student Group) 2부 해당 글은 AUSG 1부에서 이어집니다. 아직 1부를 읽지 않으신 분은 1부를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AUSG (AWS University Student Group) 1부 보러가기 활동 최근 디자인 팀에서 AUSG 홍보 자료를 제작했다. 그렇다. AUSG는 늘 새롭고 짜릿하다. 작년 8월부터 지금까지 내가 경험한 AUSG는 평범한 것이 없었다. 가장 먼저 했던 것은 세미나 발표였다. AUSG는 기획과 디자이너, 그리고 개발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발자는 반드시 AUSG 주관 세미나에 스피커로 참여해야 한다. 나는 호기롭게 두 번째 세미나 순서를 차지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내가 해 온 개발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고, 발표해 본 경험도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은 뜻대로 흘러가지..
AUSG (AWS University Student Group) 1부 AUSG란? AUSG는 AWS University Student Group의 약자로 AWS와 한국 AWS 사용자 그룹인 AWSKRUG에 소속된 한국 AWS 대학생 그룹이다. AUSG는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AWS 세미나와 AWS re:invent, AWS Summit 등 AWS 공식 행사 및 컨퍼런스에 참여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지원하게 된 이유 "멋쟁이 사자처럼" 6기 활동을 하던 중 우연히 스터디를 같이 했던 타 대학 운영진으로 부터 AUSG가 주관하는 세미나에 참여할 생각이 있냐는 연락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이전에 MSP(Microsoft Student Partners)에서 주관하는 세미나를 갔다가 실망했던 기억이 있어서 큰 기대를 하지 않고, AUSG 세미나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곧 AUS..
멋쟁이 사자처럼 멋쟁이 사자처럼이란? (이하 멋사) 멋쟁이 사자처럼은 "내 손으로 내 서비스를 만든다"라는 모토를 가진 전국 연합 프로그래밍 동아리다. 현재 멋사는 전국의 약 70여개의 대학교가 참여 중이다. 멋사는 내 인생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경험 중 하나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멋사 인생 회고(?)와 함께 앞으로 멋사를 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내 경험을 공유하고 싶어 이 글을 작성한다. 주절주절 멋사의 활동 영역은 크게 중앙과 각 학교로 나뉘고, 선발 기준과 방식은 각 학교 운영진에 의해 정해진다. 그리고 대부분의 활동이 교내에서 학교 운영진들에 의해 진행되기 때문에 사실상 멋쟁이 사자처럼은 중앙보다 학교별로 운영되는 느낌이 강하다. 멋사에서는 새로운 기수를 보통 "아기 사자"라고 부른다. 내가 아기 사자였던 멋사 ..
블로그 시작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이유 개발자로서 블로그를 시작해야 겠다는 생각은 예전부터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블로그를 망설이는 모든 사람들이(?) 그렇듯 나도 마음만 먹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했다. 결국은 이렇게 지금 첫 글을 작성하고 있지만 :) 평소에 많은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얻는 편이고, 또 나도 공유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블로그를 시작하게 됐고, 앞으로 알고리즘 문제 풀이, 개발 이야기, 대외활동 등 평소에 쓰고 싶었던 글들을 작성할 예정이다. 블로그를 어떻게 시작하지? 개인적으로 블로그에 쓸 글들은 정말 많다. 내 Github Private Repository에는 아직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한 수 많은 개발 족보.. 아니 스스로 정리한 자료들이 숨어 있다. 내가 받았던 도움 만큼 많은 개발자들이 내 ..